조이스 (두레방 활동가)
“Survivors are blamed & judged when they stay in abusive relationships but also punished & criminalized when they try to leave.”
This statement was tweeted by @standwithnanhui on April 6, 2015. #StandWithNanHui is an ongoing campaign in support of domestic violence survivor Nan-Hui Jo, who was convicted on charges of abducting her own child, Vitz Da (whose name was later changed to Hwi Jo). While the statement above refers to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there are parallels that Durebang can draw in our work with migrant women who face different forms of violence within the U.S. military camptowns in Korea. Durebang stands with Nan-Hui, a survivor of domestic violence, who is being criminalized for protecting herself and her daughter Vitz Da.
Nan-Hui is a Korean survivor of domestic violence, mother, and undocumented immigrant who is currently being detained in Yolo County jail in California. Several years ago Nan-Hui was in a relationship with Jesse Charlton, a U.S. combat veteran who served in two tours of the Iraq War and was diagnosed with severe PTSD and anger issues after his discharge from the military. The couple had a child, whom, throughout Nan-Hui’s pregnancy, Charlton had wanted aborted. During her relationship with Charlton, Nan-Hui experienced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and even called the police on two separate occasions in 2009 as a measure to protect herself. Charlton even recently testified that he had indeed become violent with Nan-Hui during their relationship.
Afraid that Charlton would continue his abuse toward her and begin to abuse their daughter, Nan-Hui escaped. She did not have the means to support and protect herself and her daughter from her abuser and did not have a network of friends and family who could assist her, so she fled the U.S. to Korea with her daughter in 2009. This was her only option, as Nan-Hui’s visa had expired, making it impossible for her to work or even obtain a driver’s license in the United States. For five years as a single mother, Nan-Hui raised Vitz Da in Korea. They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via Hawaii, where Nan-Hui had hoped to send her daughter to school. If Vitz Da’s father’s condition had improved, Nan-Hui also had hopes of reuniting her child with Charlton in the future.
Nan-Hui, however, was unaware that Charlton had reported her for child abduction shortly after her escape in 2009. In July 2014 Nan-Hui was detained by authorities in Hawaii, immediately separating her from the child she had lovingly raised alone. She was convicted on charges of child abduction in March 2015 and will continue to be detained and held without bail at Yolo County Jail in California until her formal sentencing on April 28th. Nan-Hui has not seen her child since the separation, and she is at high risk of deportation, which will likely make their separation permanent. Charlton, Nan-Hui’s former partner and abuser, has had full custody of Vitz Da since Nan-Hui’s detention in July 2014.
Blame and punishment
Nan-Hui’s situation is a heartbreaking example of how the system, both in the U.S. and Korea, continues to fail those who need protection. It makes clear that society, those in authority, and those who are asked to judge fairly do not have a high enough understanding of the intricacies of domestic violence. Nan-Hui took action, pushing through her fears and escaping her abuser for her daughter’s and her own safety. However, Nan-Hui’s escape, which for many survivors can be a scary and difficult step, is being misconstrued as a criminal act.
The dangerous message that Nan-Hui’s conviction sends is that one can very well be punished for trying to protect herself. Immigrant women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like Nan-Hui should be provided relief through protection and residency status through the U-visa. Nan-Hui, however, is being served the complete opposite – she has been criminalized and is at risk for deportation.
At Durebang, as we follow Nan-Hui’s case, we are reminded of a few very important factors that hinder im/migrant women from finding justice and protection. While Durebang’s work is not centered on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we see many of the same inequalities that have surfaced in Nan-Hui’s case. Filipina singers who work in the U.S. military camptown clubs in Korea are forced to fill a weekly quota of drink sales and in some cases are forced into prostitution against their will. The working conditions stated in the official performance contracts registered with governmental institutions do not come even close to resembling the working conditions women actually have to endure. In Korea many women on E-6-2 entertainment visas are subjected to different levels of sexual and labor exploitation, emotional, physical, and verbal abuse, and confinement. If they run away from their establishments, they become undocumented, or, “illegal” according to the Korean Immigration Bureau, and stripped of rights to live and work in Korea. Once undocumented migrant women are detained by the Immigration Bureau, they are jailed in a detention center without being informed of their rights and options as a migrant victim of sex trafficking. They are deported as soon as possible. Ultimately, the survivors are punished through deportation for leaving their unbearable jobs in the clubs.
Women who do not try to escape from clubs, on the other hand, are also judged and stigmatized as “bar girls,” “juicy girls,” “prostitutes,” or “gold diggers” whose sole purpose of coming to the camptown is to marry a U.S. soldier and immigrate to the U.S. The conclusion that Filipinas who stay either choose to work or enjoy working in clubs and are not being exploited after all is grossly simplifying a very complicated system of exploitation. These conclusions completely ignore the control, psychological manipulation and confinement, and various forms of violence that some E-6-2 visa holders are subjected to on a regular basis. This is the same reasoning and victim-blaming that has surfaced in netizens’ criticism of former model and domestic violence survivor Seo Jung-Hee, questioning why it took 32 years for her to come forward about her husband’s long-term and severe abuse. This questioning suggests that the victim is at fault for staying. It can also suggest that Seo must not have had it so bad after all if it took 32 years to file for divorce. This is the wrong question to ask. Society, with its lack of understanding of gender inequality, domestic violence, and violence against women blame the victims and survivors when we instead should actively assist them to obtain justice and protection from their abusers.
Korea’s current system of systematically deporting migrant victims and survivors who escape sexual exploitation and sex trafficking echoes the same message sent by the justice system handling Nan-Hui’s case in the U.S.-taking action to protect yourself makes you a criminal, and without a visa, you are no longer welcome to stay.
Other parallels: language barriers and lack of access to resources
Another important factor that Nan-Hui’s case reveals is the difficulty im/migrant women have in navigating the legal systems of another country, in another language. After her escape, Nan-Hui corresponded with the Child Abduction Unit of Yolo County via email, relying on a dictionary in order to correspond with the officer. Nan-Hui also expressed that she did not have legal representation and did not understand U.S. child custody laws, yet ultimately needed to keep her daughter safe, away from her abuser (Stand With Nan-Hui campaign’s February 24, 2015 “Court Update”).
Im/migrant women in Korea experience similar confusion when it comes to trying to understand Korean labor, immigration, family court, and protection policies. Most E-6-2 visa holders in Korea do not understand the laws affecting them and do not know whom to turn to for assistance. It is also extremely common for club owners, “promoters,” customers, and boyfriends of migrant women to use the threat of calling police or Immigration officers as a control tactic. Thus it is likely that the women Durebang meets for the first time may not trust that we can assist them, as it is difficult for non-Korean speakers to distinguish civic groups from government institutions and police enforcement. New clients understandably become wary when we ask about their documentation status, concerned that we may report them to Immigration authorities. There are also many victims who fear having to open up about the problems or traumas they face and resort to trying to solving their problems on their own. Migrant women, therefore, are less likely to access much needed resources.
Like Nan-Hui, furthermore, many of Durebang’s clients are single mothers, and many have struggled with child custody battles or paternity establishment. While these types of legal proceedings are complicated enough to experience in one’s native country and language, Durebang’s migrant women clients must deal with Korean law, U.S. law, or both. Most E-6-2 visa holders in Korea are unable to afford lawyers, so they end up frustrated, disheartened, frightened, and exhausted as they deal with the Korean court system, U.S. custody laws, and visits to the Army Community Services office on base, all in a language that they cannot speak or speak as a second language.
The effects of militarism are far-reaching
Militarism and war are devastating in extensive ways. The lives of nearly 500,000 Iraqis who were taken due to war-related causes also impact the lives of victims’ family and friends and Iraqi society as a whole, meaning the Iraq War has devastated the lives of an exponential number of Iraqi people.
On a similar but far less tragic scale, the 2.5 million service members deployed to Iraq and Afghanistan since 2001 have affected not only those deployed but also their family and friends. Nan-Hui’s case reminds us that soldiers in combat, like Charlton, can bring the violence of war home. According to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Research… shows that male veterans with PTSD are two to three times more likely than veterans without PTSD to engage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news.wustl.edu/news/Pages/12902.aspx). While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military tours in Iraq and in Korea, Durebang recognizes that there is always a strong possibility of PTSD-related domestic violence against both Korean and migrant women in Korea’s U.S. military camptowns.
Durebang stands with Nan-Hui because she, like many of our clients, is a survivor who should be protected and supported but instead has been criminalized by the justice and immigration system. We stand in solidarity with Nan-Hui because she, like many of us, is a mother, a protector, an immigrant, a survivor, a woman. Nan-Hui has a long struggle ahead of her before she will be reunited with her daughter Vitz Da, so Durebang encourages those who believe survivors should be supported, to stand in solidarity with Nan-Hui as well.
How can we Stand With Nan-Hui?
- Sign the petition: http://action.ndlon.org/c/1509/p/dia/action3/common/public/?action_KEY=19625
- Join the #DearNanHui letter writing campaign: http://standwithnanhui.org/write-to-nan-hui/
- Donate to Nan-Hui’s legal fund: http://standwithnanhui.org/portfolio/donate/
- Ask your organization to endorse the statement: http://standwithnanhui.org/endorsements/
For more information on Nan-Hui’s case:
http://standwithnanhui.org/
http://www.kaceda.org/wp-content/uploads/2015/03/StandWithNanHuiT-15days.pdf
“생존자들이 폭력적인 관계를 그대로 유지할 때 그들은 비난을 받거나 평가된다. 하지만 그들이 이 관계를 떠나려고 할 때 그들은 또한 처벌을 받거나 법을 어긴 것으로 간주된다.”
위의 서술은 2015년 4월 6일에 @standwithhanhui에 의해 트윗되었다. #StandWithNanHui는 가정폭력 생존자 조난희를 후원하는 진행 중인 캠페인으로 난희는 그녀의 아이 다빛(이후 조휘로 변경)을 유괴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위 서술이 가정폭력 생존자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지촌에서 여러 가지 폭력에 노출된 이주여성과 관련하여 두레방이 하고 있는 일과 유사점이 있다. 두레방은 자신과 자신의 딸 다빛을 보호하기 위해 법을 어긴 가정폭력 생존자 조난희와 함께한다.
조난희는 한국인으로 가정폭력 생존자, 한 아이의 어머니이자 현재 캘리포니아 욜로(Yolo) 카운티 교도소에 구금중인 미등록이주민이다. 몇 년 전 난희는 이라크 전쟁에 두 차례 참전을 했고 제대 후 심각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및 분노조절장애 진단을 받은 미군 예비역 제스 찰튼(Jesse Charlton)과 연인관계였다. 이 커플에게는 아이가 한 명 있었는데 난희가 임신 중에 찰튼은 아이를 중절하기를 원했다고 한다. 찰튼과의 관계를 지속하면서 난희는 정신적,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고 2009년에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두 차례나 경찰에 신고하기도 했었다. 찰튼은 최근 난희와의 관계에서 자신이 정말로 폭력적이었다는 사실을 증언하기도 했다.
찰튼이 계속적으로 본인과 딸을 학대를 할 것을 우려한 난희는 도망을 쳤다. 그녀는 스스로와 딸을 학대자로부터 보호하고 부양할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그녀를 지원해줄 친구나 가족도 없었다. 그래서 그녀는 2009년 딸과 함께 한국으로 도망쳐 나왔다. 이것은 본인의 비자가 만료되어 일을 하거나 심지어 미국에서 운전면허를 딸 수도 없었던 그녀에게 단하나의 선택지였다. 5년 동안 난희는 미혼모로서 한국에서 다빛을 키웠고 미국에서 아이를 학교에 보낼 희망을 갖고 하와이를 거쳐 미국으로 돌아갔다. 난희는 만약 아이 아빠의 상태가 호전된다면 미래에 아이와 함께 찰튼에게 돌아갈 희망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난희는 찰튼이 2009년 그녀가 도망친 이후 곧 아동유괴로 자신을 고발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2014년 7월 난희는 하와이 당국에 의해 감금되었고 곧 홀로 사랑으로 키운 아이로부터 격리되었다. 그녀는 2015년 3월 아동유괴죄로 기소되었고 4월 28일 정식 판결이 있을 때까지 캘리포니아 욜로 카운티 교도소에서 보석이 허용되지 않은 채 수감될 예정이다. 난희는 아이와 떨어진 이후 지금까지 아이를 만나지 못하고 있으며 강제추방 될 위험에 처해 있다. 그렇게 된다면 아이와 엄마는 영원히 만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난희의 과거 파트너이자 학대자인 찰튼은 2014년 7월 난희가 수감된 이후 다빛에 대한 양육권을 갖게 되었다.
책임과 처벌
난희의 상황은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미국과 한국의 시스템 모두가 얼마나 제대로 된 보호를 제공해주고 있지 못한가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사회, 권한을 가진 사람들, 공정한 판결을 내려야 하는 사람들 모두가 가정폭력의 복잡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난희는 행동을 취했고 두려움과 맞섰고 그녀와 아이의 안전을 위해 학대자로부터 도망쳤다. 그러나 난희의 도망(모든 생존자들이 두려워하고 어려워하는 행동)은 범죄행위로 오해되었다.
난희의 기소는 자신을 보호하려고 하는 시도가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는 위험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난희와 같은 가정폭력 이주여성 생존자는 U비자를 통해 보호되고 영주권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난희에게 주어진 것은 완전히 반대되는 것이었다. 범죄자 취급을 당했고 강제출국의 위험에 노출되었다.
우리는 난희의 사례를 보면서 두레방에서 활동할 때 이주여성들의 정의 및 보호를 방해했던 몇 가지 매우 중요한 요인들을 떠올렸다. 두레방의 활동이 가정폭력을 중심에 놓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사례들은 난희의 사례에서 드러난 것과 비슷한 불평등에 관한 것이다. 미군 기지촌에서 일하는 필리핀 가수들은 매주 술을 팔아 일정한 쿼터를 채워야 하며 몇몇 사례에서는 자신들이 원치 않는 성매매를 해야 한다. 정부 기관에 등록된 공식 계약서에 적힌 작업 환경은 실제로 여성들이 견뎌야 하는 환경과 비슷하지 조차 않다. 한국에서 E-6-2 비자를 소지하고 있는 여성들은 다양한 층위의 성적 착취, 노동 착취, 감정적, 신체적 언어적 학대 등에 노출된다. 만약 업소에서 도망치면 즉시 미등록 상태가 되거나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의하여 “불법”체류자가 되며 한국에서 살아가고 노동할 권리를 박탈당한다. 한번은 미등록 이주여성이 출입국에 구금된 적이 있었는데 성매매에 의한 이주여성 피해자로서의 권리와 선택지에 대해서 어떠한 조언도 듣지 못한 채 구금된 적도 있다. 그들은 되도록 빨리 강제출국 되었다. 결국 생존자들은 자신들이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클럽에서 도망쳤고 강제출국 되는 것으로 처벌받았다.
반면 클럽에서 도망칠 시도를 하지 않은 여성들 또한 미군과 결혼하여 미국에 갈 목적으로 기지촌에 온 “호스티스”, “쥬시걸”, “매춘부” 혹은 “꽃뱀”으로 낙인찍힌다. 이 직업을 스스로 선택했든 클럽 일을 즐기고 착취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필리핀 여성들이건 간에 이러한 결론은 복합한 착취 시스템을 극도로 단순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들은 E-6-2 비자 소지자들이 상시적으로 마주하는 통제, 정신적 조종 및 감금, 다양한 폭력을 철저히 무시한다. 전 모델이자 가정폭력 생존자인 서정희에 대해 네티즌들이 피해자 비난(왜 남편의 장기간에 걸친 지독한 폭력을 폭로하는데 32년이나 걸렸냐)을 퍼부은 것도 같은 이유이다. 이러한 질문은 피해자가 거기에 안주했던 것에 대한 잘못을 제기하는 것이며 서씨가 32년이나 지나서 이혼을 제기한 것으로 봐서 그렇게까지 심한 폭력은 아니었을 것이라는 것을 은연중에 내포한다. 이것은 잘못된 질문이다. 젠더 불평등, 가정폭력, 여성폭력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사회는 피해자와 생존자들이 정의를 되찾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학대자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대신 그들을 비난한다.
성적 착취 및 성착취 인신매매로부터 도망친 이주여성 피해자들과 생존자들을 조직적으로 추방시키는 현재의 한국 시스템은 난희의 사례를 다루는 미국 법률 시스템이 보내는 같은 메시지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다. 생존자가 스스로를 보호하려 시도하면 범죄자가 될 것이고 우리나라는 비자 없는 당신을 전혀 환영하지 않는다.
다른 유사점들 : 언어장벽과 자원 접근 방법의 결핍
난희의 사례에서 드러난 다른 중요한 요인들은 이주여성들이 다른 언어로 다른 나라의 법적 시스템을 다룰 때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도망을 친 후 난희는 욜로 카운티의 아동납치전담반(Child Abduction Unit)에서 온 이메일을 받았고 그쪽 직원과 소통하기 위해 사전에 의지해 답변을 보냈다. 난희는 또한 그녀에게 법정대리인이 없음을 알렸고 미국의 양육법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 근본적으로 학대자로부터 그녀의 딸을 안전하게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얘기하였다(Stand With Nan-Hui campaign’s February 24, 2015 “Court Update”).
한국에 살고 있는 이주여성들도 한국 노동, 이주, 가정법원, 보호정책과 관련해서 비슷한 혼란을 겪는다. 대부분의 E-6-2 비자 소지자들은 그들과 관련있는 법률을 이해하지 못하며 누구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모른다. 이주여성들의 클럽 업주, “프로모터”, 손님, 남자친구들이 경찰이나 출입국 관리자를 부른다고 여성들을 협박하는 것은 아주 흔한 통제전술이다. 결국 두레방이 처음 만나는 여성들은 우리가 그들의 편이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정부기관, 경찰과 시민단체를 구분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새로운 내담자들은 우리가 그들의 법적 지위를 물을 때 굉장히 의심스러운 눈길을 보내며 혹여 우리가 출입국에 자신들을 신고하지나 않을까 걱정하는데 그것은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또한 많은 피해자들이 자신들이 겪은 문제나 트라우마를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하며 자신들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자 한다. 결국 이주여성들은 자신들이 가장 필요한 자원에 접근할 가능성이 더 적은 것이다.
더 나아가 두레방 내담자들의 대부분은 난희와 같은 미혼모로서 자녀 양육권 혹은 엄마로서의 권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법적 절차들은 본국에서 모국어로 경험해도 충분히 복잡한데 두레방의 이주여성들은 한국법, 미국법 혹은 심지어 둘 다를 다루어야 한다. 대부분의 E-6-2 비자 소지자들은 변호사를 살 수 없기 때문에 좌절감, 실망감, 두려움을 느끼며 자신들이 할 줄 모르는 언어 혹은 제2외국어로 한국의 법정 시스템, 미국 양육법을 상대할 때, 기지 내 복지서비스 CACS 사무실을 방문할 때 지치게 된다.
군사주의는 지대한 영향을 가져온다.
군사주의와 전쟁은 다양한 방법으로 엄청나게 파괴적이다. 전쟁과 관련한 원인으로 목숨을 잃은 약 50만명의 이라크인들은 또한 이들의 가족, 친구들, 이라크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이라크 전쟁이 기하급수적인 이라크 사람들의 목숨을 파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1년 이래 비슷하지만 덜 비극적인 규모인 250만 명의 이라크, 아프간 파병 군인들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과 친구 모두가 피해를 입었다. 난희의 사례가 우리에게 일깨워주는 것은 찰튼과 같은 전쟁터의 군인들이 전쟁의 폭력을 집으로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세인트 루이스 소재 워싱턴 대학에 따르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는 남성 예비역들은 이러한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예비역들에 비해 친밀한 파트너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2배에서 3배 높다.” (http://news.wustl.edu/news/Pages/12902.aspx) 이라크에 배치되는 것과 한국에 배치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지만 두레방은 항상 한국 미군기지 주변 기지촌의 한국인 여성과 이주 여성 모두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가정폭력의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두레방은 난희와 함께한다. 이것은 그녀가 다른 많은 우리 내담자들처럼 보호되어야 하고 지원되어야 하지만 법률과 이주 시스템에 의해 범죄화 된 생존자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난희와 연대한다. 왜냐하면 그녀는 우리들 대다수처럼 엄마이자 보호자, 이주자, 생존자, 그리고 여성이기 때문이다. 난희는 그녀의 딸 다빛과 만나기 전까지 매우 긴 투쟁을 앞두고 있다. 두레방은 생존자들이 지지받아야 한다는 것을 믿는 모든 사람들에게 난희와 함께 연대할 것을 요청한다.
어떻게 난희와 함께 할 수 있을까요?
- 탄원서에 서명해주세요 : http://action.ndlon.org/c/1509/p/dia/action3/common/public/?action_KEY=19625
- #DearHanHui 편지쓰기 캠페인에 동참해주세요 : http://standwithnanhui.org/kr/write-to-nan-hui/
- 난희를 돕기 위해 모금해주세요 : http://standwithnanhui.org/kr/portfolio/donate/
- 당신이 속한 조직에 성명서에 서명할 것을 요청해주세요 : http://standwithnanhui.org/kr/endorsements/
난희 사례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
http://standwithnanhui.org/kr/
http://www.kaceda.org/wp-content/uploads/2015/03/StandWithNanHuiT-15day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