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정 소장(두레방 쉼터)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성착취 피해자를 위한 많은 지원과 활동이 있다. 전국 96개 성매매피해자지원센터(상담소, 쉼터, 자활지원센터)의 활동은 성착취 피해로부터 여성들은 권리회복의 기회를 찾고 정서적·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힘을 배우게 된다. 성착취 피해자들은 안정적인 쉼터에서 법률지원, 의료지원, 치료회복프로그램지원, 직업자활지원을 받는다. 그리고 자활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활에 필요한 배움을 가진다. 이 같은 지원과 실질적 토대
『2019 경기도 미등록 이주아동 건강권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보고서』에 기반하여… 두레방 쉼터 활동가 정예진 차별하는 것은 차별당하는 것보다 쉽고, 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품어주는 것보다 더 쉽다. 이 글을 쓰고 있는 나 자신을 포함하여 우리는 이 같은 삶에 익숙하다. 한국사회에서 이주민 미등록 아동들을 배제하고 모르는 척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무관심으로 일관하기에는 미등록 아동들의 규모는 너무나도 크다. 『2019 경기도 미등록 이주아동 건강권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보고서(14쪽)』에 따르
올 겨울도 무사히 보내고 새 봄을 맞이했습니다. 봄이 왔는지 확인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바로 두레방 ‘언니들’입니다. 언니들은 봄이 오기가 무섭게 활동반경이 크게 늡니다. 산과 들, 비닐하우스까지 온데 다니며 냉이, 민들레, 상추 등 봄나물을 캐느라 분주합니다. 그러고 보면 언니들은 1년 365일, 사계절 내내 꾸준히 열성적이십니다. 주로 봄에는 냉이, 민들레, 쑥, 달래 등을 캐고, 여름에는 땅속 깊숙이 자란 칡뿌리를 캐고, 가을에는 도토리, 은행 등을 주워 말리느라 허리와 무릎이 나마나지를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