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4 두레방은 과거 미군 기지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매매 문제와 군사주의로 인한 폐해들, 특히 기지촌 성산업에 유입된 여성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여성단체입니다. 1986년에 설립한 두레방은 2005년 의정부에 두레방 상담소를 개소하였고 현재까지 경기 북부 기지촌의 이주여성과 선주민 여성들의 인권을 위한 상담, 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두레방 상담소와 함께할 반성매매 활동가를 모집합니다. ▣두레방 상담소가 궁금하다면?
제10회 구술사 시민 강좌 참가자 후기 *재린(프로그램 참여자) “네 엄마가 얼마나 야물딱졌는지 아니, 일제 순사가 들이닥쳤을 때 집에 있는 놋수저며 그릇이며 모아다 들이밀고 이게 전부라고, 그러니까 이만 가라고 그랬단다.” 이 이야기는 엄마의 외할머니가 나의 외할머니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엄마가 내게 전해준 것이다. 외증조모로부터 나에게까지 어머니에게서 딸에게 모계로 4대를 타고 내려오는 이야기였다. 기억으로 남아 입으로 재현되는 내 어머니들의 이야기를 더 자세히 듣고 싶었고, 기록으로
2022년 선주민 여성 가을 소풍 새롭게 떠나는 사과밭 가을 맞이를 위해 10월 12일, 언니들과 함께 가을 소풍을 떠났습니다. 가을은 늘 그랬듯 사과밭으로 떠나 사과를 따는 체험을 하고 소감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랜만에 나온 나들이에 한껏 신이 난 언니들과 즐겁게 다녀왔습니다. 이전에 가던 사과 농장에서는 ‘시나노’ 품종을 따게 해줬었는데, 그 농장이 올해 사과따기가 끝나서 새로운 농장을 가게 되었습니다. 가평에 있는 사과 농장은 기존 ‘시나노
기지촌 미군위안부에 대해 국가책임을 인정한 대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122명의 원고 이름으로 8년 여 진행되었던 ‘기지촌 미군 위안부 국가배상청구소송’에서 원고의 손을 들어주는 역사적인 판결이 대법원에서 내려졌다. 오늘 2022년 9월 29일은 미군위안부에 대한 국가의 책임, 즉 국가에 의한 폭력과 인권침해 사실을 대한민국 사법부가 공식적이고 최종적으로 인정한 역사적인 날로 기록될 것이다. 1심과 2심에 이어 국가가 기지촌을 조성하고 관리 및 운영 등 성매매를 조장하고 권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강제적 성병관
1. 두레방쉼터&센터품, 평택평화센터와 함께 한 미군기지 평화순례 지난 6월 8일(수) 두레방쉼터와 평택여성인권상담센터품 활동가들이 평택평화센터를 찾았습니다. 대추리평화마을 안에 위치한 평택평화센터는, 평택미군기지확장저지 투쟁에 함께 해 온 분들의 뜻을 이어 평택지역에서 미군문제를 일상적으로 다루는 평화운동단체입니다. 이곳에서, 미국의 군사화를 위해 오랜 역사를 갖고 일구어온 땅(무려 285만평)을 빼앗긴 대추리마을 이야기와 미국이 전세계에 세운 기지 중 최대 규모인 평택 험프리 미군기지에 대한 이
[센터품 활동가 내부 교육프로그램] “기지촌 평화기행을 다녀와서” *센터품 활동가 신선 올해 2월, 평택여성인권상담센터품에서 활동을 시작하고 처음으로 센터품이 소속되어 있는 두레방에 대한 교육을 받았던 순간이 떠오른다. 센터품 활동 전에도 여성인권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을 이어왔지만 기지촌 문제에 대해 제대로 배울 수 있었던 기회는 거의 없었다. 1986년 설립되어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기지촌여성들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이어온 두레방에 대한 소개와 함께 기지촌이란 공간과 그 안에 살아온 여
*김태정 소장(평택여성인권상담센터품) 기지촌여성 당사자들에게 명예회복과 피해보상이 이뤄질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길 바란다 기지촌 ‘미군위안부’ 국가청구소송 대법원의 최종 판결 촉구와 지원 체계 입법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지난 6월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렸다. 지금으로부터 약 8년 전인 2014년 6월 25일 더 이상 침묵하지 않겠다는 결의로 용기 낸 122명 기지촌여성 당사자들은 국가를 상대로 ‘기지촌 미군위안부 국가손해배상청구소송’을 시작했다. 그리고 기지촌
두레방은 기지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성매매 문제와 군사주의로 인한 폐해들, 특히 기지촌 성산업에 유입된 여성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해 온 단체입니다.현재 두레방 부설 기관 ‘두레방 외국인여성지원시설’(두레방쉼터)은 성매매피해 이주여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상담과 지원, 숙식 제공, 프로그램 지원, 인권향상 운동 등)을 하고 있습니다. 두레방 외국인여성지원시설과 함께할 활동가를 모집합니다.모집 부문: 상담원 1명 (국적 무관), 정규직, 3개월 수습 기간1. 주요 업무: 2. 자격조건
이고운 (다큐멘터리 ‘호스트네이션’ 감독) 지난 9월 12일 서울여성플라자 아트홀에서 햇살사회복지회 주최로 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뮤지컬 공연이 있었다. 주크박스 뮤지컬 ‘그대 있는 곳까지’(연출: 이양구, 음악감독: 유성숙)의 작년 평택 초연을 놓쳐서 아쉬웠던 나는 이번 공연을 무척 기대하며 뮤지컬이 시작되길 기다렸다. 첫 무대는 김숙자 할머니가 무대 중앙에 홀로 앉아 인터뷰하는 장면으로 시작되었다. 할머니의 담담한 회상으로 나는 조용히 기지촌의 과거로 들어가게 되었
Gwyn Kirk (Women for Genuine Security) The International Women’s Network Against Militarism held its 9th gathering in Okinawa from June 22-26, 2017. Fifty women attended from Okinawa, mainland Japan, the Philippines, Guam, Hawaii, Puerto Rico and California. A strong delegation from S